# 반복문 
: 특정한 코드나 행위를 반복 해야할 때 사용하는 문장 
🧡조건에 의한 반복문 
while, do ~ while 
🧡 횟수에 의한 반복문 
for 
# for문 
반복 횟수가 특정된 경우에 사용 
값이 일정하게 변하는 반복일 경우에 높은 확률로 for문 사용 
ex) 2 4 6 8 10  - 이렇게 일정하게 증가 하거나 감소. 
for(초기식; 조건식; 증감식){ 
반복할 문장 
} 
      
     초기; 조건;  증감  문장식 
for(int i=0; i < 10; i++){ 
System.out.println("안녕"); 
}
🧡실행 순서
1. 초기식에 변수를 초기화 시켜서 몇부터 시작할건지 시작값을 정해준다. 
2. 조건식에서 true인지 false인지 판단하여 문장을 반복할건지 안할건지 결정한다. 
3. 조건식이 true일 경우 블럭안에 있는 문장을 실행 시킨다. 
4. 문장을 실행 시킨 후 다시 증감식으로 올라와서 해당 수만큼 증감 시킨다. 
5. 다시 조건식으로 가서 2-3-4 를 반복한다. 
만약 조건식이 false라면 문장을 반복하지 않고 for문을 탈출한다.  
초기식에서는 새로운 변수를 하나 선언 해 준다.(for문 내부에서만 해당 변수 사용가능) 
만약 조건식이 false일 경우 for문은 실행되지 않는다.
# 어려웠던 예제 문제 풀기
 * 1~100까지 중 짝수만 출력하기 
 * 1~10까지 합 출력하기 
 * 1~100까지 홀수 합 출력하기 
 * 0 1 2 3 4 0 1 2 3 4 0 1 2 3 4 출력하기
 * 정수 하나 입력받아서 1부터 입력받은 정수까지 출력하기
 * A~F 중 E 제외하고 출력 
 * aBcDeFg...Z 출력 
- 조건- 
되도록이면 for문의 초기식은 int i=0;
증감식은 i++ 로 고정해놓고 연습
🧡1~100까지 중 짝수만 출력하기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"1~100까지 중 짝수만 출력하기");
		for(int i=1; i<101; i++) {
			if(i%2 == 0) {
				System.out.println(i);				
			}
		}
     }
     
    // 100까지는 일단 먼저 출력
    //  i 는 1-100 까지 출력 해야함 > i<101; 
    //  그대로 i를 출력하게 되면 1-00 까지 출력이됨
    // if(i%2== 0) 이면 , i가 1일때 나누면 결과값이 1가 됨으로 flase 임. 아래 해당 println 출력X
    // 그다음 i=2가 되면 2%2==0 이기때문에 조건식 부합. 결국 i가 짝수 0, 홀수 1 나옴.// 100까지는 일단 먼저 출력 
 //  i 는 1-100 까지 출력 해야함 > i<101;  
 //  그대로 i를 출력하게 되면 1-100 까지 출력이됨 
 // if(i%2== 0) 이면 , i가 1일때 나누면 결과값이 1가 됨으로 flase 임. 아래 해당 println 출력X 
 // 그다음 i=2가 되면 2%2==0 이기때문에 조건식 부합. 결국 i가 짝수 0, 홀수 1 나옴.
💥 출력 💥

🧡1~10까지 합 출력하기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"1~10까지 합 출력하기");
		int total= 0;
		for(int i= 0; i<10; i++) {
			total += i + 1;	// total = total + i + 1
		}
	System.out.println(total);
}
// i=0; 부터 i<10; (10미만) i가 1씩 증가 
// 10번 출력후 다 합단다. 
// 담아둘곳 = int total  > 여기다가 0부터 10까지 담아주자 
// total += i + 1       > i+1 1- 10 나온 값을 누적대입 연산후 total 담자
//total = total + i + 1// i=0; 부터 i<10; (10미만) i가 1씩 증가  
// 10번 출력후 다 합단다.  
// 담아둘곳 = int total  > 여기다가 0부터 10까지 담아주자  
// total += i + 1       > i+1 1- 10 나온 값을 누적대입 연산후 total 담자 
//total = total + i + 1
💥 출력 💥

'Class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#JAVA 수업 강의 4 (0) | 2022.03.31 | 
|---|---|
| Java class day1, day2 요약정리 (15) | 2022.03.28 | 
| #JAVA 수업 강의 3-1 (0) | 2022.03.25 | 
| #JAVA 수업 강의 3 (8) | 2022.03.24 | 
| #JAVA 수업 강의 2-3 (0) | 2022.03.23 | 
 
						
					 
			
			
				
댓글